3D프린터 SLA 정밀출력 진행해보세요.
안녕하세요. 에스비쓰리디입니다.
4차산업의 화두로 삼차원 장비가 뜨게 되면서 많은 분들이 샘플이나 시제품을 요청하고 계십니다.
이 기술은 다품종 소량생산이 가능하고 빠르고 저렴한 것을 어필하고 있는데요. 새로운 기술이라고 하더라도 어떠한 제조법이라도 단점은 있기 마련이죠. 어느 정도 삼차원 Printer를 알고 계시는 분들은 위 장점들을 인정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이 장비로 만든 것은 품질이 좋지 않다.'라고 인식하고 있습니다.
가장 대중화가 된 방식이 FDM이기 때문인데요.
에프디엠은 재료를 노즐에 연결해 녹이면서 쌓아올려 형상을 만들다보니 표면에 한 층씩 쌓였던 흔적이 남아있게 되고 1mm 이하의 레이어(굵기)는 표현이 어려워 생략되거나 뭉그뜨려 표현될 수 있습니다.
그래도 에프디엠을 가장 많이 이용하고 대중화되어있는 까닭은 만드는 방식이 단순하고 합리적인 비용 덕분이죠.
하지만 어느 제조법이든 단점을 보완할만한 다른 방법이 있기 마련입니다.
아래는 3D프린터 SLA로 만든 정밀출력 사례들입니다.
훨씬 정교하며 표면이 말끔해 일반인들은 사출품이라고 말해도 믿는 정도로 퀄리티가 좋습니다.
에프디엠으로 이렇게 좋은 표면품질을 원한다면 뽑아낸 모형에 퍼티칠을 하거나 서페이서를 뿌린 뒤 갈아주는 샌딩작업까지 진행해야만 하는데요. 사람의 손으로 진행하다보니 너무 작거나 복잡하면 불가능하다보니 피규어나 작은 디오라마, 악세사리 등의 경우에는 3D프린터 SLA 권유를 해드리고 있습니다.
때에 따라서 오히려 3D프린터 SLA로 만드는 것이 FDM 후 가공을 하는 것보다 합리적일 수 있습니다.
3D프린터 SLA 형식은 빛에 의해 굳는 성질의 광경화수지 수조에 빛을 투과해 모형을 만듭니다.
재료를 쌓아 모양을 만드는 것에 비해 상식적으로 훨씬 정교하고 깔끔할 것으로 예상이 되는 것은 당연합니다.
하지만 3D프린터 SLA 장비와 소재가 고급형으로 고가이다 보니 적층방법으로 만드는 것보다 비용이 높죠.
따라서 굳이 모든 제품들을 이렇게 만들 필요는 없습니다. 전시회에 이용하거나 출품작, 발표 등 처럼 심미성이 중요하다면 모르겠지만 디자인이나 설계 등을 확인하기 위한 용도라면 FDM으로 만들어도 충분합니다.
PRINTING에 대한 이해가 없는 분이라면 제가 이렇게 설명을 해드려도 어렵게 느껴질 것으로 생각됩니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간단하게 사진으로 첨부해보았습니다. 아래에서 말하는 '크기'나 '디테일'의 정도는 정해져있지 않지만 대략적으로 손바닥 반정도 되는 것을 작은 크기 라고 생각하며 적어보았습니다.
이상 3D프린터 SLA 포스팅을 마칩니다. 궁금한 사항은 언제든지 문의주세요.
- 이메일 : ssb3d@naver.com
- 본사 :
창원시 의창구 팔용동 58-4번지 2동 3층 302호
도로명 : 의창구 차룡로14번길 67 2동 3층 302호
- 연락처 : TEL1 : 055)716-2238,1721
TEL2 : 010-5650-5463
카카오톡 ID : saytjd007